2025년 기준,
대한민국 주요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청년 자기계발비 또는 활동지원금 제도를 지역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청년 자기계발비란?
청년 자기계발비는 청년들이 자신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 사용하는 비용을 지자체나 기관이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자격증 공부, 어학 수업, 책 구입, 온라인 강의 수강 등을 위한 비용을 현금이나 포인트, 카드 형태로 지원해 줍니다.
<서울특별시>
* 청년수당
- 대상: 만 19~34세, 주민등록상 서울 거주, 미취업 또는 단기근로자
- 지원: 월 50만 원 × 최대 6개월 (총 300만 원), 체크카드 지급
- 용도 제한: 학원비, 교통비, 식비 등 (주류·유흥 제외)
- 신청: '청년몽땅정보통' 플랫폼을 통해 연 1~2회 공고·접수
* 자격시험 응시료 지원 (구 자치구별)
- 예: 마포·강서·관악·노원·동대문·서초 등 자치구
- 지원 내용: 연 10만~20만 원, 실비 지급 (각 자치구별 별도 신청)
- 신청 기간: 대부분 2025년 연중 접수 (예산 소진 시 종료)
- 예: 마포구 최대 10만 원·중랑구, 용산·금천 등 매월 정기 접수
<경기 지역 (경기도 및 시 / 군별)>
*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 대상: 만 24세, 최근 3년 연속 또는 합산 10년 이상 도내 거주자
- 지급: 분기별 25만 원 (연 최대 100만 원), 지역화폐 형태
- 신청: 연 1회 또는 분기별 홈페이지 접수
* 응시료·자기계발비 지원 (시·군별)
- 예: 성남 ALL‑Pass(수강료·응시료 최대 100만 원), 동두천·의왕·화성 등
- 지급: 30만~100만 원 선 실비 또는 포인트 지급
- 신청: 시군 청년지원사업 통합시스템을 통해 상시 또는 분기별 접수
<부산광역시>
* 청년디딤돌카드 플러스 (희망카드)
- 대상: 부산 거주 만 18~34세 구직자
- 지급: 월 30만 원 × 최대 6개월 (총 180만 원), 소득 요건 있음
- 혜택: 취업 성공 시 성과금 추가 지급
- 신청: 부산시 온라인 접수 기간 지정
* 자격시험 응시료 지원 (자치구별)
- 대부분 구에서 연 최대 8만~10만 원 실비지원 (예산 소진 시까지)
- 신청: 구별 청년포털 또는 홈페이지 접수
- 기간: 연초부터 연말까지 상시 운영
<대전광역시>
* 청년 취업지원금
- 대상: 만 19~34세, 대전 거주 미취업 청년
- 지원: 월 최대 50만 원 × 최대 6개월 (총 up to 300만 원)
- 용도: 직무교육비, 면접준비, 자격시험 응시료, 교통비 등
- 추가: 이력서 첨삭, 취업컨설팅 등 포함
* 청년도전지원사업
- 단기(5주)~장기(25주) 과정별 참여 시 수당 지급
- 최대 250만 원 참여수당 + 이수 (20만 원), 구직(30만 원), 취창업 인센 인센티브 포함
- 신청: 대전시 또는 청년재단 공고 통해 접수
* 커뮤니티·자기계발 프로그램
- 운영처: 대전청년내일재단 등
- 내용: 네트워킹, 활동비, 멘토링 지원
- 신청: 재단 홈페이지 및 공고 통해 모집 (예: 2025년 3월 접수)
< 울산광역시 & 울주군 >
* 응시료 지원 (울산 전 지역)
- 대상: 울산 시민 중 청년층
- 지원: 어학·자격시험 응시료 연 1회 최대 10만 원 (실비)
- 신청: 울산 청년정책 플랫폼 또는 일자리지원과 접수
- 기간: 2025.2월~11월 (예산 소진 시 마감)
* 울주군 청년 자기개발비
- 대상: 울주군 내 청년
- 지원: 자격시험 응시료 및 강의 수강료 등 최대 100만 원
- 신청: 온라인 포털 접수
- 비고: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
<충남 (충청남도)>
* 청년특화산업 지원사업
- 대상: 만 39세 이하 미취업 청년, 특정 산업 분야
- 지원: 자기계발비 연 50만 원, 채용·교육 인센티브 병행
- 신청: 사업 공고 후 충남테크노파크 통해 접수
- 기간: 2024년 기준 사업 진행, 예산에 따라 변동 가능
✔️ 신청 전 확인사항
- 거주지 요건: 주민등록 기준 해당 지역 거주해야 신청 가능.
- 연령/취업 상태: 대부분 19~34세 미취업 청년 대상, 일부 지역은 만 24세 단일연령 등 요건 상이
- 소득 기준: 일부 지역은 중위소득 기준 이하 자격 포함
- 예산 및 선착순: 예산 조기 소진 시 조기 마감하는 경우 많음 → 신청 공고 시기 및 조건 꼭 확인
- 증빙서류 준비: 주민등록등본, 소득증명, 응시료 증빙 등 필요 서류 있을 수 있음
- 자기계발 목적 확인: 자격시험 응시료, 수강료, 교재비, 활동비 등 지원 항목 명확히 확인
🛠️ 어떻게 사용할 수 있나요?
사용 | 예시 내용 |
📘 도서 구입비 | 자격증, 자기계발, 취업 관련 서적 등 |
🎓 수강료 | 학원 수업, 온라인 강의, 자격증·어학 강의 수강 등 |
🧾 응시료 | 토익, 컴활, 한국사, 공무원 시험 등 각종 자격시험 응시료 |
🧘 활동비 | 세미나, 워크숍, 교육 프로그램 등록비 등 |
※ 각 지역이나 기관에 따라 사용 범위나 방법(카드, 증빙, QR 등)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 왜 필요할까요?
청년들이 자기개발에 쓰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 경제적 여유가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취업준비생, 사회초년생은 책 한 권, 수강료 하나도 큰 부담이 되기 쉽습니다. 이 제도는 청년들이 자신의 성장에 투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발판이 되어 줍니다.
🌱 어떤 점이 좋은가요?
- 경제적 부담을 줄여줍니다 : 공부하고 싶은데 돈이 없어서 포기하는 일이 줄어들어요.
- 자신감과 경쟁력을 키울 수 있어요 : 자격증, 어학 등 스펙이나 실력이 향상됩니다.
- 자기 성장의 기회를 얻어요 : 나 자신에게 투자하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입니다.